본문 바로가기

재태크

연금투자 효율 올리기 2탄

반응형

안녕하세요. 우리끼리입니다.

설 연휴 동안 좋은 시간 보내셨나요? ^^

갑자기 추워진 날씨가 너무 추워졌어요.

체감 온도가 -24도나 된다고 하니

따뜻한 옷 준비하셔야 겠어요.

 

 

 


오늘은 설 연휴 전에 미리 얘기했던

연금투자 효율 200% 올리기 2탄을 준비했어요.

그럼 시작해 볼까요?

 

 

효율적인 연금투자를 위해서는 개인연금뿐만 아니라 알아 두어야 할 용어가 있는데요.

IRP (Individual Retirement Pention)

즉, 개인형 퇴직연금입니다. 

취업자가 재직 중에 자유로 가입하거나 이직할 때

받는 퇴직급여 일시금을 계속해서 적립, 운용할 수 있는 퇴직연금제도로 

180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으며,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연금저축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연금저축 (400만 원)을 합산해서 총 700만 원까지만 세액이 공제되는 점을 알아 두어야 합니다.

 

 

세액공제
IRP - 700만원
IRP(300만 원) +  연금저축(400만 원)= 700만 원

 

 


 

 

두 번째로 알아두면 좋은 용어는 ISA입니다.

ISA (Indivisual Saving Account)

즉, 개인 종합자산관리계좌입니다.

저금리, 저성장 시대의 개인의 자산을 종합적으로 관리하여 재산 형성을 지원하려는 취지로 도입한 절세 계좌입니다.

그래서 잘만 활용하면 많을 장점을 가져가 주는 계좌인데요.

ISA 한 계좌에서 펀드, 파생결합증권, 예금, 적금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운용할 수 있다.

하지만 ISA 계좌는 의무 가입기간이 3년이므로

단기투자를 하는 경우에는 가입하지 않는 것을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ISA의 가입한도는 연 2000만 원까지이며, 총 1억 원까지 가능하고 소득 수준과 무관하게 가입이 가능하다. 

ISA의 가장 큰 장점은 세제 혜택인데요.

순소득의 200만 원까지 비과세이며, 200만원 초과금액은 9.9%로 분리과세된다.

 

 

 

ISA 계좌의 종류

 


 

그렇다면, 지금까지 설명한 연금저축, IRP, ISA 어떻게 투자하면 좋을까요? 

 

 

3가지 상품모두 연금투자를 위한 좋을 상품이지만,

제품의 특징에 따라서 다르게 투자 방식을 다르게 해야 합니다.

 

먼저, ISA 장기적인 연금투자보다는 3-5년 동안 돈을 묶어두고 투자와 절세효과를 볼 수 있는 

중장기적인 투자방식에 적합한 상품입니다.

 

그럼 장기적인 연금투자에 최적화된 상품은 

바로!!

연금저축과 IRP입니다.

 

연금저축 IRP 연금저축
400만원 300만원 1100만원

 

위의 표처럼 연금저축에 납입을 한다면,

연금저축을 통한 최대한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고, 

추가로 납입한 연금저축을 통해서 연금저축 납입한도인 1800만 원을 납입하게 되면 

추가납입한 부분에 대한 세액공제은 받지 못하지만

과세이연과 연금수령 시에 저율과세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출처) Unsplash 의 Natalya Zaritskaya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서 마무리할게요. 

여러분이 부자 되시길 길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갑자기 추워진 날씨에 감기 걸리지 않도록 모두 감기 조심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