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태크

주식용어정리 3탄- BPS 와 PBR

반응형

안녕하세요. 우리끼리입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셨나요? ^^

저는 이웃님들께서 응원글을 너무 많이 주셔서 기분 좋게 하루를 시작하였습니다.

너무 감사해요!!

오늘은 주식용어정리 3탄을 준비했습니다.

바로 BPS와 PBR입니다.

그럼 시작해 볼게요! GO GO!!

 


 

BPS (Bookvalue Per Share)
주당 순자산 가치를 의미하는 지표로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빼면 기업의 순자산이 남는데, 이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수치를 말한다.

* 순자산 / 발행주식수

기업이 활동을 중단한 뒤 그 자산을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1주당 얼마씩 배분되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BPS가 높을수록 수익성 및 재무건전성이 높아 투자가치가 높은 기업이라 할 수 있다.
한편,  BPS에는 주가 정보가 고려돼 있지 않기 때문에 해당 회사의 주가가 자산가치에 비해 얼마나 저평가 혹은 고평가 되어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PBR이라는 값을 사용한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PBR (Price Bookvalue Ratio)
PBR(Price Bookvalue Ratio)은 주가순자산비율(PBR·Price Bookvalue Ratio)로, 주가를 BPS로 나눈 비율을 뜻한다. 
*주가 / 주당 순자산가치 (BPS)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BPS와 PBR은 순자산(Bookvalue)을 기준으로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입니다.

 

 


 

구분 순자산
(자산-부채)
발행 주식수 BPS
(Bookvalue Per
Share)
주가 PBR
(Price Bookvalue
Ratio)
A기업 20000 100주 200원 400원 2배
B기업 60000 600주 100원 100원 1배

A기업의 BPS는 200원으로 B기업의 100원보다 높습니다. 즉, A기업의 1주의 가치가 B기업보다 가치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A기업은 주가가 400원으로 높기 때문에 PBR이 2배입니다.

이는 A기업의 1주당의 가치가 2배 높게 고평가되어있다는 의미입니다.

 

*PER의 평균값은 10배이므로 10배보다 높으면 고평가 낮으면 저평가를 의미합니다.

*PBR의 평균값은 1배이므로 1배보다 높으면 고평가 낮으면 저평가를 의미합니다.

 


 

 

카카오의 BPS는 26,253원으로 한주당 순자산의 가치는 26,253원인데 PBR 2.47배로 약 2.5배 정도 고평가되었습니다.

 

하나의 예를 더 들어 볼게요.

 

 

SK 하이닉스의 BPS는 99,868원으로 한주당 순자산의 가치는 99,868 원인데 PBR 0.93배로 적정하게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런 자산은 재무상태가 안전하다는것을 의미합니다.

 


 

*위의 주식은 그래프분석을 위한 예시일 뿐 투자유도 아닙니다.

 

 


여러분이 부자가 되시는 길에 조금은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반응형